TURI BLOG

[GA4] How to approach website analysis referring to the book, Data-Driven UX? 본문

[TIL]Today I Learned

[GA4] How to approach website analysis referring to the book, Data-Driven UX?

TURI BLOG 2023. 12. 9. 09:50

Data-Driven UX, 4Grit, 2019

Data-DrivenUX 책으로 질문, 방향 설정해보기

 

*References

 

<Data-Driven UX>. FOUR GRIT

 

- p.35) 수백 수천만 명의 행동 패턴을 하나의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 '데이터의 신뢰성'과 직결된다고 할 수 없다. 

수치들이 제대로된 수집 결과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어떤 의문을 품고 있는지까지 추측하지 못하기 때문이다. 

사용자가 왜 그런 행동을 보였으며, 어떻게 느꼈는지, 무엇을 기대하는지는 숫자를 통해서 알 수 없다. 따라서 데이터는 단순히 수치와 숫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서 다양한 관점에서 수집해야 한다.

 

- p.36) 디자이너의 역할은 데이터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고 사이트 개선, 즉 액션을 실행하는 실행자가 되어야 한다. 

데이터만 보아서는 어떻게 실행으로 옮겨야 하는지 알 수 없다. 사이트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인지, 조직의 목표가 무엇인지,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하길 원하는지와 같이 먼저 데이터 수집 목표를 설정해야 분석을 시작할 수 있다. 

따라서 데이터는 측정 목적을 정확히 세워야 하며 이 목적에 따라 측정과 수집 방법이 달라지는 다양한 기능을 취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. 

 

- p.37) 데이터는 숫자나 수치보다 패턴이 중요하다. 패턴은 추세를 가리킨다. ...

또한 어떤 사용자 한 명이 메인 페이지에서 노란색 아이콘을 가장 먼저 클릭했다 하더라도 다른 사용자 대부분이 빨간색 아이콘을 먼저 클릭한다면, 빨간색 아이콘에 더 주목해야 한다. 

 

- p.38) ... 따라서 데이터뿐만 아니라 '자신이 속한 팀의 목표가 무엇인가' '기업의 목표가 무엇인가' '시장의 트렌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가' 등의 다양한 환경을 아울러 보는 자세가 중요하다. 

 

- p.45) 이처럼 시나리오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, 즉 전환이 무엇인지를 염두해 두어야 한다. 을 개선할지 정의하는 일이야말로 가장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.  

 

- p. 46) 두 번째로는 방문자가 가장 많이 줄어드는 위치를 파악한다. 이 위치는 다름 아닌 사용자가 느끼는 가장 큰 장벽이 된다.

 

- p.47) 또는 히트맵(Heatmap)을 통해 신규 및 재방문 사용자의 행동을 비교하거나 유입 경로에 따라 ...

관심도가 적은 영역에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삽입하고 기존 콘텐츠의 묵누를 변겨하여 사용자의 주목도를 높이고자 했다.

 

- p.60) 페이지 탐색

  기준: 페이지 

  의미 : 방문자가 페이지 내에서 제공된 콘텐츠를 모두 탐색했는지 검통해 사용자의 페이지 탐색 성과를 측정한다. 

  측정방안 : 페이지 구간별 스크롤 도달률 혹은 스크롤 도달 높이의 평균을 살펴본다.  

 

 

 

 

 

questions & idea

 

- 사용자 경험에 대한 수집과 질문에 대해서 얻고자 하는 바를 정해야, 적용할 지점을 구글 분석툴로 코드에 적용할 수 있다. -> 그 전까지는 예시를 찾아서 적용 해 보는 걸로. 

- 메인페이지 : 스크롤 도달, 위치 수집 / (현재) 지역 선택 버튼 클릭 -> 유효할까?

- 디테일 페이지 : 클릭 위치 수집/분석 가능한지 찾아보기 - 히트맵? 

- 사이트 유입 경로가 수집 가능한가? - 구글 분석에서 찾아보기 

 

Q) 디테일 페이지는 url 링크가 다른데, 페이지 별로 사용자 이동구간을 어떻게 수집하는가? -> 디테일 페이지는 리스트 페이지가 맵으로 페이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벤트 발생, 혹은 클릭 발생을 코드에 적용-> 수집 가능 할 듯. 

 

 

Comments